기사 메일전송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 차세대 CAR-T 치료법을 위해 큐로셀과 바이러스 벡터 제조에 대한 업무협약 체결
  • 편집국
  • 등록 2023-11-18 03:49:24

기사수정

글로벌 멀티모달리티 CDMO인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와 CAR-T 치료제 전문기업인 큐로셀(Curocell)은 차세대 CAR-T 치료제 개발에 필수적인 바이러스 벡터의 생산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두 회사의 지속적인 협력에 있어 또 한 번의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이 파트너십은 두 회사 간의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여 CAR-T 치료제 연구 개발을 위한 바이러스 벡터의 개발, 생산, 임상시험을 포함한 전체 프로젝트를 아우를 것이다.

바이러스 벡터는 바이러스를 활용하여 유전 물질을 세포 내부로 운반하는 약물 전달 수단이다. 최근 CAR-T 치료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바이러스 벡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 벡터를 생산하는 GMP 시설 부족으로 CAR-T 치료제를 포함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의 패트릭 리우(Patrick LIU) 회장은 “CAR-T 치료 분야의 국내 선두주자인 큐로셀과 바이러스 벡터 공급을 위한 MOU를 체결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CAR-T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긴밀한 협력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규모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큐로셀의 김건수 대표이사는 이 파트너십을 통해 두 회사는 “CAR-T 치료제의 개발에서 상용화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를 아우르는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할 것”이라면서 “큐로셀은 유전자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입지를 확대하고 있는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항암면역치료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기업 개요 - 큐로셀

“절망과의 전쟁: 큐로셀은 혁신적인 항암면역치료제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큐로셀은 국내 최초의 CAR-T 치료제 전문기업으로, 최근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신약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는 CAR-T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큐로셀의 기술은 기존 항암면역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해 다양한 종류의 암을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큐로셀은 CAR-T 기술개발,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 GMP 등 다양한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새로운 CAR-T 세포치료제의 체계적 개발을 위해 국내 주요 병원들과도 협력하고 있다. 큐로셀은 국내 최초로 CAR-T 임상시험에 대한 규제승인을 획득한 기업으로, 제품 제조를 위한 첨단 장비를 도입한 최고 수준의 대규모 상용 GMP 시설을 보유하며 CAR-T 세포치료제 분야의 국내 선도기업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CAR-T 세포치료제 - 차세대 항암면역치료제”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T) 세포치료제는 시험관에서 환자의 면역 T세포를 변형시켜 암세포만 표적으로 삼는 항원을 발현시킨 뒤 이를 환자에게 재주입해 암을 파괴하는 차세대 암 면역치료제다. 환자의 면역세포를 분리하고, 유전자를 변형하고, 대량으로 배양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치료법이 없는 말기 백혈병 환자에서 일회 투여만으로 완전한 관해가 가능하다.

· 기업 개요 -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

진스크립트 바이오테크 코퍼레이션(GenScript Biotech Corporation)의 자회사인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는 GMP 생산 플랫폼에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분야의 바이러스 벡터에 대한 고품질 원스톱 제조 공정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글로벌 위탁 연구 기관(CRO)이자 위탁 개발 및 제조 기관(CDMO)이다. 이 회사는 미국, 네덜란드, 중국(상하이 및 난징), 홍콩에 지역 사무소를 운영하면서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통해 미국, 유럽, 아시아의 고객을 지원하고 있다. 2017년 10월,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는 탄탄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아시아 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임상시험용 신약(IND) 승인을 획득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언론연락처: 진스크립트 프로바이오(GenScript ProBio)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2024 특별주제 사전 공개 대한민국 영상·사진 분야 청소년 제작자들의 축제 ‘제23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이하 미디어대전) 시상식이 2165명의 청소년 제작자가 참여한 400편의 작품 중 42편을 시상하며, 7일 수상 결과를 발표했다.올해 미디어대전은 청소년의 시선으로 다채로운 소재를 다룬 작품들이 풍성함을 더했다. 시상식 상영작으로 선정된 ‘나는 오..
  2. 김주호 KPR 사장, 아태 지역 혁신가 25인에 선정 종합 커뮤니케이션그룹 KPR의 김주호 사장이 PR 분야 최고 권위 기관인 프로보크 미디어(PRovoke Media)가 발표한 ‘2023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혁신가 25인(Innovator 25)’에 선정됐다.혁신가 25인은 미국의 글로벌 PR 마케팅 전문지 프로보크 미디어가 매년 북미, EMEA(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등 지역별로 커뮤니케이션과 마케팅 분야에...
  3. 효성중공업, 컨테이너형 스태콤을 통해 해외시장 개척 박차 효성중공업이 6일 경남 함안에서 일본 니신전기(Nissin Electric Co., Ltd.)에 납품하는 컨테이너형 스태콤(STATCOM,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의 출하기념식을 가졌다.이번 출하된 제품은 효성중공업이 보유한 MMC(Modular Multilevel Converter) 스태콤 기술을 최초로 컨테이너에 설치한 타입이다. ‘MMC’기술이란 지능형 전력망을 활용해 대용량 전력을 ...
  4. 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 11월 11일 동국대에서 학술대회 개최 한국매거진미디어융합학회(회장 이용준 교수)가 주최·주관하는 ‘미디어교육의 방향과 과제, MZ세대의 OTT 이용행태에 따른 영상 콘텐츠 제작 전략’이라는 주제의 학술대회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래엔의 후원으로 11월 11일(토) 오후 1시부터 동국대학교에서 열린다.◇ 디지털미디어 문해력, 미래 미...
  5. 하림, 닭가슴살햄 ‘챔 더블치즈’ 출시 종합식품기업 하림이 닭가슴살햄 ‘챔’의 신제품 ‘더블치즈’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챔’은 오리지널, 할라피뇨에 이어 더블치즈까지 세 가지 맛으로 라인업이 확장됐다.최근 맛있게 먹으며 건강까지 챙기고 싶어 하는 소비자가 늘자, 식품업계는 고단백 저지방의 대명사 닭가슴살을 맛있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캔햄 제품...
서울안심소득
재택치료_상담_진료방법안내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